본문 바로가기

오펀 칼럼/코미디예찬!

[코미디예찬] 개콘 '감수성' 더 이상 엔딩코너로 가치 없다


[오펀 코미디 칼럼] 개그콘서트(이하 개콘)의 엔딩 코너로 자리잡은 <감수성>(2011.김준호, 김대희, 김지호, 이동윤, 권재관)은 이제 수명을 다한 것 같다. 


작년 이 코너가 처음 선보였을 때는 상당히 웃겼다. 거친 전쟁 상황에서 왕이 가신들에게 던지는 '막말'에 상처받아 슬퍼하는 사극을 패러디한 설정도 신선했고 '대갈공명'의 등장과 반전, '오랑캐'의 잠입 등 탄탄한 개그적 요소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개콘의 다른 코너들이 회를 거듭할 수록 발전한 것과는 달리, 감수성은 스타들을 받아들이고 이들의 홍보성을 강화하면서 속절없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특히, '대갈공명'(김대희 분)의 비중은 축소된 것은 치명적이다. 탁월한 개그맨인 김대희가 극의 구성에서 차지한 역할은 막강했는데, 한마디로 스타들 때문에 죽었다. 더 이상 김대희의 등장이 기대요소가 되질 못한다. 


유일하게 오랑캐역을 맡은 김지호의 역할만 제대로 살아남았는데, "아니, 어떻게 알았지?"라는 진짜 웃겼던 대사도 1년쯤 되니 이젠 식상하다. 잠입 분장에도 한계가 있고 스타를 출연시켜야 하는 구조 때문에 변화를 주는 데도 한계가 있다. 


[개그콘서트 엔딩코너 <감수성>에 출연한 씨스타]


<감수성>의 퇴보가 '스타들의 홍보성 출연'이라는 원인 때문이라고는 해도, 비슷한 시기에 같이 시작해 현재까지 발전하고 있는 코너 <생활의 발견>(2011.송준근, 신보라, 김기리)을 보면, <감수성>이 얼마나 스타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  


<생활의 발견> 역시 스타가 등장한다. 자체 소재만로는 더 이상 진행하기가 어려워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켜야 했는데, <감수성>과 마찬가지로 유명 연예인들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생활의 발견>에 등장하는 스타는 극중에 깔끔하게 녹아든다. 역할도 명확하고 개그맨들과 호흡도 잘맞을 뿐더러 구성 자체가 스타의 홍보라는 점 보다는(사실 등장만으로 홍보는 다 된 것이니깐) 극 중의 역할에 맞춰 충실하게 연기를 한다. 


[개그콘서트 <생활의 발견>의 한 장면]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생활의 발견>은 스타를 들이면서도 코너가 더 재밌게 발전하고 있는 반면, <감수성>은 극의 구조도 무너지고 스타도 무대에 올라 얼굴을 보인다는 점 빼놓고는 대체 뭘하고 있는 건지 알 수 없는 코너로 전략했다. 


요즘 감수성은 말그대로 '대충대충' 마무리짓는 개콘의 엔딩코너로 전락했다. 이런 불성실함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개그콘서트가 애당초 '코미디' 뿐만 아니라 '쇼'를 표방한 개그쇼였기 때문에 스타들의 등장 그 자체는 문제가 아니지만, <감수성>처럼 스타도 안살고 극도 죽는 이런 코너를 아직까지도 지속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 하려면 <생활의 발견>처럼 해야한다. 


<감수성>을 통해서 섣부른 스타의 활용이 코미디에 얼마나 해악을 미치는지 잘 알 수 있는 반면, <생활의 발견>을 통해 어떻게 이를 극복할 수 있는가를 <개그콘서트>는 한꺼번에 보여주고 있다. 적어도. 엔딩코너는 좀 바꾸자. <감수성>, 더는 못보겠다. 


[오펀 문화예술팀=허순옥 기자]